#OECD 건강통계,지역사회건강통계 국민건강통계자료 비만율-e나라지표#

한국인 병원 가장 많이 다니고 입원기간도 길어.. OECD '건강 통계 2015'



OECD 건강통계, '한국인' 병원 방문횟수 1위.. 입원기간 2위

OECD 건강통계, 한국인 연 평균 병원 방문 15회..OECD 평균 2배 이상 
한국인, OECD 건강통계 결과 1인당 의사 방문 횟수 1위
OECD 건강통계, 없으면 불안해?





15일 OECD의 ‘건강 통계 2015’에 따르면 2013년 우리 국민의 1인당 의사 방문 횟수는 14.6회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OECD 평균은 6.7회였으며 일본이 12.9회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헝가리(11.7회) 체코(11.1회) 슬로바키아(11.0회) 독일(9.9회) 터키(8.2회) 캐나다(7.7회) 순이다. 핀란드(2.6회) 멕시코(2.8회) 스웨덴(2.9회) 칠레(3.3회) 뉴질랜드(3.7회) 등은 상대적으로 의사를 찾는 횟수가 적었다.


병원에 머무는 기간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2013년 국민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6.5일로 OECD 평균(7.3일)보다 9.2일 많았다. 일본이 17.2일로 가장 길었다. 핀란드(10.6일) 헝가리(9.5일) 체코(9.4일) 독일(9.1일) 등이 상위권을 형성했다.



입원 기간이 긴 이유는 병상 등 의료시설의 공급 과잉 현상 때문이다. 김 교수는 “선진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병상을 줄이는 추세지만 우리는 오히려 늘고 있다”면서 “의료기관이 병상을 채우기 위해 환자를 더 많이, 더 오래 입원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인구 1000명당 병상 수는 2013년 기준 11개로 일본(13.3개)에 이어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다. 3위는 독일(8.3개), 4위는 오스트리아(7.7개), 5위는 헝가리(7.0개)다. OECD 평균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데 우리나라 병상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MRI(자기공명영상)와 CT(컴퓨터단층촬영) 등 고가 의료기기도 빠르게 늘고 있다.






sonamu @1004vy

OECD 건강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이 의사를 찾는 횟수는 연평균 14회가 넘어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으며 입원 기간도 회원국 평균 2배가 넘는다고






 

 

+ Recent posts